[한반도 브리핑] '딸바보' 김정은, 남한과 천륜 끊겠다…"영토 평정 준비"<br /><br /><br />[앵커]<br /><br />한 주간의 한반도 정세와 외교·안보 이슈를 정리해 보는 토요일 대담 코너 '한반도 브리핑'입니다.<br /><br />김정은 정권이 새해 벽두부터 연평도와 백령도 인근에 해안포를 쏟아부으며 군사적 긴장을 더 고조시켰습니다.<br /><br />앞서 대남정책의 근본적인 방향 전환을 선언하면서, 남한 영토를 평정하기 위한 대사변 준비에 박차를 가하겠다고 밝혔습니다.<br /><br />오늘은 이 문제 중심으로 한 주간 한반도 상황 정리해보겠습니다.<br /><br />국제, 외교·안보 분야 담당하는 이치동 기자 나와 있습니다.<br /><br />오늘 살펴볼 핵심 내용들부터 정리해 볼까요.<br /><br />[기자]<br /><br />연말연시 북한의 위협이 심상치 않습니다.<br /><br />올해 군사적 긴장의 극대화를 예고하고 있습니다.<br /><br />오늘 다룰 내용 정리하고, 조금 더 짚어보겠습니다.<br /><br />북한이 연평도와 백령도 인근에서 해안포 200발을 발사했습니다.<br /><br />훈련이었지만, 2010년 연평도 포격 악몽이 있는 주민들은, 한때 긴급 대피했습니다.<br /><br />김정은 정권이 남북한을, 동족으로서 특수 관계가 아닌, 교전 상대로 규정했습니다.<br /><br />집권 12년 차에, 대남 정책의 근본적인, 방향 전환을 천명한 겁니다.<br /><br />그러면서, 남한 영토를 평정하기 위한, 대사변 준비에 박차를 가하겠다고 했습니다.<br /><br />사실상 핵보유국 지위와, 군축 협상을 노리고, 긴장을 최고조로 끌어올리려 한다는 분석이 나옵니다.<br /><br />[앵커]<br /><br />아니나 다를까 북한이 연말연시 말 폭탄을 쏟아냈습니다.<br /><br />서해에서 해안포 사격 훈련도 재개했는데요.<br /><br />위협 수위가 예사롭지 않다는 평가가 나옵니다.<br /><br />[기자]<br /><br />어제죠.<br /><br />연평도와 백령도 북쪽에서 해안포 200발 가량을 발사했습니다.<br /><br />훈련으로 인명 피해는 없었지만, 2010년 연평도 포격에 대한 트라우마가 있는 주민들이 긴급 대피하기도 했습니다.<br /><br />새해 벽두에,, 포성과 포연의 공포가 감돈 건데요.<br /><br />북한이 급기야 우리 국민들이 위협을 피부로 느낄 수 있는 무력시위까지 서슴지 않는 겁니다.<br /><br />북한 총참모부는 "민족,동족이라는 개념은 이미 우리의 인식에서 삭제됐다."고 강조했습니다.<br /><br />우리 군도 대응 차원에서, NLL 인근 해상으로 400발이 넘는 포사격을 했는데요.<br /><br />강대강 대치, 긴장이 escalate 하는 국면으로 볼 수 있습니다.<br /><br />[앵커]<br /><br />남한을 더 이상 동족으로 대하지 않겠다는 건 노동당 전원회의에서 나온 결정이죠.<br /><br />[기자]<br /><br />작년 말에 열린 전원회의 결과가 예상보다 하루 일찍 나왔었죠.<br /><br />조선중앙통신 보도 내용이 꽤 긴데요, 핵심은 대남정책의 근본적인 방향 전환을 공식화했습니다.<br /><br />남북 관계는 더 이상 동족, 동질 관계가 아니고, 적대국, 전쟁 중인 교전 상대일 뿐이라면서, 유사시 남측 영토를 평정하기 위한 대사변 준비에 박차를 가한다고 한 겁니다.<br /><br />김정은이 서른살도 안 돼서 왕좌에 올랐죠.<br /><br />집권한 지, 12년이 됐는데요.<br /><br />이제는 남한을, 미국의 식민지 그 이상 그 이하도 아니라면서, 급진 군사주의에 기반한 무력 통일론을 공개적으로 제시한 겁니다.<br /><br />자신의 아버지 김정일과 김대중 전 대통령 간 6.15 공동선언을 사실상 전면 부정한 겁니다.<br /><br />[앵커]<br /><br />많은 분들이 무엇보다 김정은 정권이 도대체 왜 저러나 궁금해하실 텐데요.<br /><br />[기자]<br /><br />정부와 전문가들의 분석을 종합하면, 한미·한미일 간 긴밀한 안보 협력, 확장억제에 대한 불만, 경계심이 크다는 게 있고요.<br /><br />군부와 이른바 경제일꾼을 포함해서 내부 체제 단속도 목적도 있고. 중. 장기적으로는, 어차피 비핵화 대화는 포기했으니, 긴장을 극대화해서 사실상 핵보유국 지위를 얻고, 군축 협상에 나서려는 것으로 보입니다.<br /><br />전문가의 평가 들어보시겠습니다.<br /><br />실제로 미국 조야에서는 비핵화가 불가능하니, 차악으로 군비축소, 군비통제로 가자는 의견이 솔솔 나오고 있습니다.<br /><br />아시듯이, 요즘 미국이 두 개의 전쟁 때문에 골치가 아프지 않습니까.<br /><br />우크라이나 상황 안 좋고, 가자지구는 장기화 국면으로 가고 있고.<br /><br />한반도에 신경 쓸 여력도 없고, 시끄러워지는 게 상당히 부담스럽겠죠.<br /><br />북한도 이걸 아는 거고요.<br /><br />[앵커]<br /><br />결국 남측과는 절연하고, 핵국가로 인정받기 위해서 제 갈 길 가겠다는 건데요.<br /><br />남측을 미국이나 일본처럼 외국, 적성국으로 대한다는 거 아닙니까.<br /><br />[기자]<br /><br />그렇죠.<br /><br />그간 1991년에 체결된 남북기본합의서에 따라 양측 간 특수 관계, 특수성에 바탕을 두고 정책을 펼치고 대화도 하고 교류도 했는데요.<br /><br />조금 전에 말씀드린 6.15 공동성명 정신도 있고요.<br /><br />하지만, 예를 들어, 이제는 혹시 북한에 가게 되면 이제는 여권을 들고 가야할 수도 있습니다.<br /><br />상징적인 문제지만, 남북 간 대화를 해도 6자회담이나 유엔에서처럼 국기를 꽂고 명패도 놓고 하게 되는 거죠.<br /><br />그간 북한이 "우리 민족끼리"라는 선전 구호를 전면에 내세웠는데, 이젠 다 떠나서 휴전 중인 적대국일 뿐이라는 겁니다.<br /><br />그나마 남아있는 심리적 안전핀마저 뽑아버린 느낌이라고 할까요.<br /><br />이미 대남 기구 개편 작업에 들어갔다고 하는데요.<br /><br />통일전선부 등 남북 관계, 교류 협력을 다루는 기구를 폐지하고, 옛날처럼 외무성에 '조국통일국' 같은 거를 만들 가능성이 제기됩니다.<br /><br />임을출 교수의 언급 하나 더 들어보시겠습니다.<br /><br />우리로 치면 통일부를 없애고 외교부에 '통일국'을 만드는 셈인건데요.<br /><br />정찰총국과 같은 대남도발, 공작 기관은 확대될 가능성이 크다는 설명입니다.<br /><br />국방성의 영향력도 커지고요.<br /><br />[앵커]<br /><br />김여정 부부장이 나서서 한국의 정치권 얘기, 특히 전. 현직 대통령을 비교까지 해서 특히 총선을 앞두고 남남갈등을 부추기는 거 아니냐는 관측이 나왔습니다.<br /><br />[기자]<br /><br />먼저 김정은이 전원회의에서 남한 정권이 수없이 바뀌었지만, '자유민주주의 체제하의 통일' 기조는 변함이 없었다면서, 진보나 보수나 매한가지라고 한 건데요.<br /><br />방송 내용 들어보시겠습니다.<br /><br />이어서 김여정이 나섭니다.<br /><br />제목이 "대한민국 대통령에게 보내는 신년 메시지"인데요.<br /><br />우리 정부는 보통 김여정 담화에 대해 일일이 공식 대응을 하진 않습니다.<br /><br />하지만, 이번엔 바로 했습니다.<br /><br />북한 특유의 갈라치...